
K-패스란?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을 적립해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다.
카드만 발급하면 끝X 회원가입 안하면 적립0원
하지만 단순히 K-패스 카드를 발급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적립되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K-패스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을 해야만 적립 및 환급이 가능하다.
나는 K-패스 카드를 발급만 해놓고 한 달 동안 회원가입을 안 해서 적립이 안 됐다. 뒤늦게 부랴부랴 가입했으니, 카드를 발급한 후에 꼭 회원가입부터 하길 바란다!
K-패스 적립 & 환급 조건
✅ 지원 대상
✔ 만 19세 이상
✔ K-패스 참여 지자체 주민 (외국인 포함)
✔ K-패스 카드 발급자 (알뜰교통카드도 가능)
✅ 적립률
구분 | 적립률 |
일반 | 20% |
청년 (만 19~34세) | 30% |
저소득층 | 53% |
다자녀 부모 (2자녀) | 30% |
다자녀 부모 (3자녀 이상) | 50% |
지역별 추가 혜택도 있 https://korea-pass.kr/info/use_accm.do |
📌 2025년부터 변경 사항
- 1일 최대 적립 횟수 2회로 제한
- 다자녀 부모(2자녀 30%, 3자녀 이상 50%) 환급 혜택 증가
✅ 적립 가능한 교통수단
- 버스 (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 (신분당선, GTX 등 포함), 공항철도 이용시 적립가능
- 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은 적립 불가 ❌
✅ 지급 기준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
✔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이어도 지급
✔ 하루 최대 2회까지만 적립 가능
✔ 이용 횟수 기준: 30분 이내 환승 시 1회로 간주, 일 2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
✔ 월 60회 초과 시, 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만 지급
- 최대 적립 금액은 20만 원까지는 전액 인정되고, 초과분(2만 원)의 50%만 적용
✅ K-패스 참여 지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참여중이다.

이제 발급해보자 !
K-패스 카드 발급 방법 & 이용 방법
✅ K-패스 카드 발급 (실물 or 모바일 가능) → K-패스 홈페이지 회원가입 → 대중교통 이용 후 적립지급
K-패스 홈페이지 회원가입 절차
1️⃣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화면 진입
2️⃣ 발급된 카드 번호(15~16자리) 입력 후 [유효성 체크] 클릭
3️⃣ 본인 인증 (휴대폰 or 공동인증서)
4️⃣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5️⃣ 필수 회원 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
- 거소 확인이 안 될 경우: 가입 후 1개월 이내 주민등록등본, 국내 거소 사실 증명서 제출 필요
K-패스 문의처
- 정책 및 제도 문의: 한국교통안전공단 ☎ 054-459-7441, 7442, 7446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044-201-5084, 5086
- 이용 및 적립금 문의: K-패스 고객센터 ☎ 031-427-4415
K-패스 카드 발급후기
나는 케이뱅크에서 K-패스 체크카드를 발급했다. 다른 카드사랑 혜택을 잘 비교해서 선택해보시길 바란다.
📌 케이뱅크 K-패스 체크카드 발급 방법
1. 케이뱅크 앱 다운로드 후 로그인
2. 메뉴에서 '카드 신청' 클릭
3. K-패스 One 체크카드 신청
📌 케이뱅크 K-패스 One 체크카드 혜택
✔ 전월 실적 30만원이상(교통비 제외) & 교통비 5만원 이상 사용 시 월 3천원 캐시백
✔ 매달 직접고르는 혜택 3개중 선택1 : 모든 거래처 무제한 캐시백(오프라인 0.7%, 온라인 1.2%) 또는 특정 브랜드 1만원이상 결제시 7% 캐시백 또는 369캐시백(결제횟수가 3의 배수가 될때마다 천원캐시백-건당 7천원이상결제시 )
K-패스 환급 찐후기 (내가 실제로 적립받은 금액!)
나는 출퇴근할 때 버스를 자주 이용한다. 아래표는 지금까지 사용적립된 것이다. 해당날짜에 후불교통비와 K-패스 적립금이 동시에 통장에서 빠지고, 들어왔다.
📌 실제 적립 내역
날짜 | 후불 교통비 | K-패스 적립금 (청년:30%) |
2025-02-17 | 50,000원 | 13,430원 |
2025-01-15 | 51,850원 | 16,520원 |
2024-12-16 | 57,650원 | 14,360원 |
2024-11-15 | 62,350원 | 17,930원 |
2024-10-15 | 62,850원 | 14,270원 |
2024-09-19 | 61,050원 | 18,140원 |
2024-08-16 | 63,400원 | 16,650원 |
2024-07-15 | 42,400원 | 10,800원 |
2024-06-17 | 42,000원 | 10,410원 |
※ 위 표에서 정확히 30% 적립금이 아닌 이유 : 적립 불가한 교통수단 이용 및 상한선 등 정책에 따라 변동
✅ K-패스 참여 지역이라면 다른 지역에서도 적립 가능! 타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해도 K-패스 참여지역이면 적립이 된다. 대전버스, 전주버스나 서울 지하철도 다 적립이 되었다.
마무리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라면 무조건 가입해야 하는 혜택이다. 하지만 카드만 발급한다고 끝이 아니라, 반드시 k-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해야 환급을 받을 수 있으니 꼭 가입할 것!
적립금 놓치지 않으려면 K-패스 공식홈페이지(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필수
나처럼 한 달 동안 회원가입을 안 해서 손해 보지 말고, 미리미리 가입해서 교통비 절약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