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정책5

나몰래 대출 막는법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왜 필요할까?요즘 사기범들은 스미싱 링크 등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빼내고, 본인 몰래 대출을 실행하는 수법을 쓰고 있다. 특히 부모님 세대는 이런 문자에 쉽게 속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대출 차단을 걸어두는 게 중요하다.은행원한테 들은 얘기로는, 최근 부고 문자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 개인정보가 유출돼 대출이 실행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나는 대출 안 받을 건데?" 하고 방심하면 안 된다.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란?- 본인 동의 없이 대출·신용거래가 실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서비스- 사전에 차단 설정하면 신용대출, 카드론, 신용카드 발급 등이 불가능- 은행 창구 또는 은행 앱(온라인)에서 신청 가능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방법 ✔️ 은행 방문(오프라인) 신청• 거래 중인 은행에 직접 방문해 신청서 작.. 2025. 4. 2.
전주 화물차 주차장 개장! 요금·이용 방법 / 장동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전주에 새로운 화물차 공영 주차장이 생겼다! 그동안 화물차들이 도로변에 장시간 주차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는데, 이제는 체계적인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전주 시내 도로가 한층 깔끔해진 느낌이다. 화물차 운전자들도 마음 편하게 주차할 공간이 생겨 반길 만한 소식! 📌 위치 & 가는 길• 위치: 전주오토월드자동차(중고차매매단지) 뒤편• 가는 길: 전주오토월드 가는 길 왼쪽으로 새로 뚫린 도로를 따라가면 된다.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주차 요금은 얼마일까?주차 요금표차량 구분월 요금연 요금2.5톤 미만4만원44만원2.5톤 이상 ~ 4.5톤 이하5만원55만원4.5톤 초과6만원66만원참고: 차량 구분 기준은 자동차등록증의 최대적재량을 따른다.주차장 공간 & 시설직접 가서 확인해보니, 주차장은 넓고 자리도 충분했.. 2025. 3. 27.
K-패스(K-PASS) 사용법(9개월 이용 후기) 대중교통비 환급받는 법 K-패스란?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을 적립해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다.카드만 발급하면 끝X  회원가입 안하면 적립0원하지만 단순히 K-패스 카드를 발급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적립되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K-패스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을 해야만 적립 및 환급이 가능하다.나는 K-패스 카드를 발급만 해놓고 한 달 동안 회원가입을 안 해서 적립이 안 됐다. 뒤늦게 부랴부랴 가입했으니, 카드를 발급한 후에 꼭 회원가입부터 하길 바란다!  K-패스 적립 & 환급 조건✅ 지원 대상✔ 만 19세 이상✔ K-패스 참여 지자체 주민 (외국인 포함)✔ K-패스 카드 발급자 (알뜰교통카드도 가능)✅ 적립률구분적립률일반20%청년 (만 19~34세)30%저소득층53%다자녀 부모 (2자녀)30.. 2025. 3. 8.
전주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후기 전주가 시내버스 정기권을 발급하다니 너무나 굿소식입니다. 왜냐면 저는 출퇴근을 버스를 이용하는 버스유저이기 때문이죠 코로나19 서민부담완화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현재 정기권 가격은 30일권 46,000원 2일권 10,000원 1일권 5,500원 버스 한번 이용시 성인 1,500원! 출퇴근 왕복 하루에 1,500*2=3,000원입니다. 한달내내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3,000*30=90,000원 평일날만 타시면 20일정도 가정하면 3,000*20=60,000원 --------------------------------------------- 30일동안은 무제한으로 이용가능하니 완전 이득이네요 ! 30일이내에 몇번을 타든 무료니까 너무 좋아요! 저는 모바일로 다운로드를 받았어요 플레이스.. 2023. 3. 18.
전주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법/ 안될때 오류날때(2달사용후기오류해결) 지금 전주 시내버스 정기권 2달째 출퇴근할 때 쓰고 있습니다. 처음 시행착오가 많았습니다. '결제가 안됩니다'.라고 뜨는게 비일비재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당황해서 뒷사람에게 먼저 하라고 양보하면서 진땀 뺀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그렇게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많은 솔루션(해결책이)이 제게 탑재되었습니다 ㅋㅋ 그럼 그 해결책 함께보시죠~마치 리포터 같군요 ㅋㅋ 1. 와이파이를 끄고 데이터(LTE)를 켠다. 2. 절전모드를 해제한다. 3. NFC카드모드가 잘 켜져 있는지 확인한다. 4. 시내버스정기권어플을 킨다. 5.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비밀번호를 풀고 찍는다. 6. 버스단말기에 핸드폰케이스를 떼고 핸드폰뒷부분의 위에를 갖다 대면 끝! *젤리케이스는 케이스 안 빼도 됨 만약 이렇게 까지 했는데 안되면.. 2023. 3. 18.